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9

[미국 박사 유학] 2. 지원할 학교 고르기 : 지원 전략 세우기 이전 포스트 [링크] 에서 지원할 학교를 정하는 방향에 대해 이야기했다.이제 원서비가 조금이라도 덜 아깝게(어차피 아깝긴 하다 쩝,,) 지원 전략을 세우는 방향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한다.이 시리즈 중에 가장 사견이 많이 들어가고 100% 필자의 개인적인 경험과 견해만으로 채운 글이 될 것이다! 무조건 Ph.D. 여야만 하는가?일단 이 시리즈는 기본적으로 Ph.D. 지원을 전제로 깔지만 굳이 direct Ph.D. 여야만 하는지에 대해 스스로에게 물어보자. 분명 지원 리스트를 뽑다보면 현실적으로 여긴 에반데 안쓰기는 아쉽고,,, 어쩌지 싶은 곳들이 있긴 했을 것이다. 필자는 지원 리스트를 크게 하기로 분류할 수 있었다. 1. 커넥션도 있고 핏도 맞아서 이래저래 Ph.D. 가능성이 보이는 곳2. 커넥션은 없.. 2025. 4. 9.
[미국 박사 유학] 1. 지원할 학교 고르기 : 학교, Lab 서칭 자 드가보자.딱딱한 정보성 글 어체로 하려니 쓰다가 지루해져서 뇌에서 흘러나오는대로 쓸 생각이니 감안하고 봐주기 바란다. 내용은 충실히 채우겠다. 필자는 5월 ~ 6월 말 정도 시기에 지원할 학교, 교수, 학과를 골랐다. 이게 진짜 지난하고 지루하고 고통스러운 노가다다.학교 -> 학과 -> 교수 순으로 봐야 하는거 아니야?? 싶을 수도 있지만 경험 상 아니다!!분야마다 다를 수 있지만 필자는 Robotics 인간인데 이 분야는 Mechanical Engineering, Computer Science, Electrical Engineering, 심지어는 Biomedical Engineering, Civil Engineering(?) 등등 온갖 Department에교수님들이 분포되어 있다.따라서 가고 싶은 .. 2025. 4. 7.
[미국 박사 유학] 0. 서론 : 작성자의 이모저모 2025 Fall 미국 대학원 입시가 거의 끝물이다. 학부에서 바로 유학을 준비하며 우여곡절이 참 많았지만 결론적으로 석사 3개, 박사 1개의 offer를 받으며 수락할 학교를 정했고 비자 신청 준비를 하며 앞으로 유학을 준비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자 [미국 박사 유학] 시리즈를 작성해보고자 한다. 시리즈에 이어질 글들은 필요한 부분만 봐도 좋지만 서론은 끝까지 읽어보고 다음 내용을 볼 지 판단했으면 한다!유학 준비 과정은 본인의 현재 status (학위, 전공, 분야 등)에 따라 매우 다를 것이니 작성자에 대한 간략한 정보라도 알아야 이 글이 본인에게 도움이 될 지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 서론을 작성한다. 작성자는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2019.03 ~ 2025.02) 학부에서 바로 .. 2025. 4. 5.
MDT 논문리뷰(Multimodal Diffusion Transformer: Learning Versatile Behavior from Multimodal Goals) Multimodal Diffusion Transformer: Learning Versatile Behavior from Multimodal GoalsMultimodal Diffusion Transformer: Learning Versatile Behavior from...Introductionmultimodal task에서 다목적 행동을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확산 기반 접근법인 Multimodal Diffusion Transformer (MDT) 를 소개한다. MDT는 적은 언어 주석 데이터에서도 효율적으로 학습하며, 두 가지 self-supervised loss(MGF, CLA)을 도입하여 성능을 크게 향상시킴. MDT는 CALVIN 및 LIBERO 벤치마크에서 최고 성능을 기록하며, 대규모 사전 학.. 2024. 8. 19.
3D Diffuser Actor 논문리뷰(3D Diffuser Actor: Policy Diffusion with 3D Scene Representations) 3D Diffuser Actor: Policy Diffusion with 3D Scene Representations3D Diffuser Actor: Policy Diffusion with 3D Scene RepresentationsIntroductionManipulation task는 기본적으로 멀티모달 성격을 가진다. 가장 자연스러운 해결 메소드는 policy학습을 distribution learning problem으로 정의하고 policy를 deterministic map(πθ(x))이 아닌 현재 state(p(y|x))에 대한 action 분포를 학습시키는 것이다. 최근 연구들은 이 state conditioned action distribution 학습에 diffusion.. 2024. 8. 12.
Diffusion Policy 논문리뷰(Diffusion Policy: Visuomotor Policy Learning via Action Diffusion) Diffusion Policy: Visuomotor Policy Learning via Action DiffusionDiffusion Policy: Visuomotor Policy Learning via Action Diffusion기본적으로 알면 이해에 도움이 되는 확산 모델과 행동 복제(Behavior Cloning) 💡 Keywords: Imitation learning, visuomotor policy, manipulationAbstract💡 “로봇 행동 생성을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로봇의 비주모터 정책을 조건부 디노이징 확산 과정으로 나타내는 방법을 소개한다.”Diffusion Policy는 새로운 로봇 행동 생성 방법으로, 로봇의 비주모터 정책을 조건부 디노이징 확산 과정으로 나타낸다. .. 2024. 8. 7.
반응형